본문 바로가기
Investing

기관투자자 수급으로 수익 내는 방법

by 우린버펫 2022. 9. 1.
반응형

수급 변곡점 투자 방법

주가는 수급이 지속적으로 유입되어야 상승할 수 있다. 주가 상승 시 큰 수익을 내려면 가능한 저점에서 매수해 고점에서 매수해야 하는데 그 저점 부근을 판단할 때 외국인이나 기관투자자의 첫 유입 시점을 기준으로 매수 전략을 세우면 된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가 하향 추세에 있다가 실적 턴어라운드가 시작 되거나 호재가 예상되면 먼저 기업분석을 한 외국인이나 기관투자자의 대량 매수화 함께 주가가 크게 상승하는 날이 발생한다.

평소 거래량의 두배 이상 발생하고 주가도 장대 양봉을 세우며 그동안의 매물을 소화하며 상승 할 때 수급 변곡점이라고 보면 된다. 수급 변곡점이 발생한 날 종가나 다음 날 시가 이하에서 매수하면 된다.

주성엔지니어링 차트

주성 엔지니어링은 하락 추세가 진행이 되다가 외국인 투자자와 기관 투자자의 대량 매수와 함께 대량 거래가 발생하고 장대 양봉이 발생하면서 수급 변곡점이 발생한 후 상승 추세로 전환하여 주가가 상승 하였다.

 

수급 눌림목 투자 방법

주가는 상승 추세가 진행되더라도 일시적으로 조정이 나오면서 하락하다가 다시 상승을 이어간다.

수급주 눌림목 투자는 외국인과 기관투자자의 수급이 들어온 종목에서 상승하다가 쉬어가는 구간이 발생할 때 눌림목 자리에서 매수하여 2차 상승 수익을 실현할 수 있는 투자 방법이다.

눌리목 구간은 시장 상황에 따라 유동적이지만 1~2일 또는 일주일 가량 진행될 때도 있다.

수급 변곡점이 발생한 종목의 투자 시점은 종가 부근에 투자하여 가능한 조정이 마무리된 시점에 투자한다.

주가 눌림목이 진행되면 분할 매수해서 목표 수익에 도달하였을대 매도하여 수익을 내면 된다.

수익 목표는 각자 목표한 수익률을 정하고, 손절 가격도 정하여 일정 부분 하락하면 위험관리도 해야 한다.

 

덱스터 차트

덱스터가 수급 변곡점이 발생한 후에 2일 간 조정 기간이 발생하였고, 눌림목 시점에서 매수하여 2차 상승 시세를 이용하여 수익 실현을 하면 된다.

 

주식 초보자도 쉽게 하는 ETF 투자방법

기관투자자들은 ETF(상장지수펀드)에 거대한 자금을 투자한다.

해외 투자자인 블랙록 같은 자산운용사는 수천조 단위의 ETF 자금을 운용하면서 글로벌 ETF에 투자한다.

KOSPI200이나 코스닥 150 지수 펀드와 같이 인덱스 펀드를 운영하기도 하고, 특정 산업 섹터의 ETF를 투자한다. 예를 들어서 BBIG(배터리, 바이오, 인터넷, 게임) ETF 펀드를 만들어서 큰 자금을 운용한다.

외국 투자자들은 글로벌 ETF 펀드인 MSCI 인덱스 펀드나 FTSE 인덱스 펀드를 운영하면서 거대한 자금을 투자한다. MSCI 지수펀드는 1년에 4번(2월, 5월, 8월, 11월) 지수 변경을 하면서 편출입 기업들을 발표하고 리밸런싱 한다. 인덱스 지수에 편입이 되면 큰 자금의 투자금이 유입이 되기 때문에 인덱스 편입 예상되는 기업에 투자하면 단기에도 우수한 수익률을 올릴 수 있다.

코스피 200 지수나 코스닥 150 지수는 1년 2번(6월, 12월) 정기 변경을 하고 신규 상장 기업이 있으면 상장 시점 이후 일정한 기간이 지나면 편입이 된다.

2022년 1월에 LG에너지솔루션이 신규 상장하면서 거대 자금의 ETF 편입이 집행이 되면서 주식 시장의 자금을 흡수해 가면서 1월에 다른 종목들의 주가 하락이 발생하였다.

LG에너지솔루션에 투자하기 위해서 다른 기업들을 매도해서 자금을 마련하였기 때문이다.

개별적인 종목에 투자하기 어려운 초보자들은 여러 종목이 편입 ETF를 투자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예를 들어, 미래에셋증권의 TIGER KRX BBIG K-뉴딜 ETF의 편입 종목은 LG화학, 삼성 SDI, SK이노베이션, 삼성 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네이버, 카카오, 더존비즈온, 엔씨소프트, 크래프톤, 넷마블 등이다.

한꺼번에 위의 기업에 투자하는 방법이 TIGER KRX BBIG K-뉴딜 ETF에  투자하는 것이다.

주식형 ETF의 거래세는 비과세 되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세금면에서도 절세하는 투자 방법이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0